[25.08.14.9AM 웨비나] 시티은행 AI 총괄이 말하는 AI로 금융산업을 이끄는 방법

Bias in AI

Bias in AI

AI 편향(Bias in AI)이란 머신러닝 모델에서 발생하는 체계적인 오류로, 그 결과가 불공정하거나 부정확, 혹은 차별적이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종종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사회적 편향을 그대로 반영하거나 확대하면서 발생합니다.

AI 편향은 모델 학습 과정뿐 아니라 운영 중인 AI 시스템의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윤리적, 법적, 평판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

 

• 데이터 기반 원인(Data-Driven Origins): 편향은 주로 불균형하거나 불완전한, 혹은 대표성이 부족한 학습 데이터에서 발생합니다.

• 편향의 유형(Types of Bias): 라벨 편향, 샘플링 편향, 측정 편향, 알고리즘 편향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 숨겨진 편향과 발생 편향(Hidden and Emergent): 개발 단계에서는 드러나지 않다가 실제 사용이나 특정 집단에서 나중에 문제가 드러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Impact on Fairness): 성별, 인종, 나이, 지역 등에 따라 불평등한 결과나 차별적 처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완전한 제거의 어려움(Difficult to Eliminate Fully): 의도치 않게 인간이 만든 라벨이나 과거 데이터에서 숨겨진 편향을 그대로 학습하는 경우가 많아,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활용 분야(및 위험 영역):

 

• 채용 도구(Recruitment Tools):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지원자를 차별하거나 우대하는 편향된 모델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헬스케어 AI(Healthcare AI): 환자 그룹에 따라 치료 권고가 달라지면 생명과 직결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신용 평가(Credit Scoring): 편향된 결정으로 인해 대출 승인이나 거절에서 불공정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대표성이 부족한 데이터셋에서는 어두운 피부색을 가진 사람들에게 더 높은 오류율이 나타나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 LLM 및 챗봇(LLMs & Chatbots): 필터링이나 정렬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유해하거나 고정관념적인 언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중요성

 

AI의 편향은 공정성, 책임성, 신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윤리적이고 포용적이며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AI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편향을 식별하고 완화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AI가 중대한 의사결정에 활용되는 시대에서는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