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에너지, 탄소, 그리고 물

AI와 에너지, 탄소, 그리고 물

구글 AI 에너지 소모

AI는 에너지 걱정 없이 하염없이 사용할 수 있는 걸까요?

최근 구글은 자사의 대표 AI 서비스인 Gemini(제미나이) 앱의 텍스트 프롬프트 1회 실행당 에너지, 탄소, 그리고 물 사용량을 처음으로 구체적으로 공개했습니다. 과연 우리는 AI로 하루에 얼만큼의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을까요?

프롬프트 하나가 쓰는 전기, 물, 탄소

구글의 기술 보고서에 따르면, 제미나이 텍스트 프롬프트 1회 실행은 평균적으로 다음과 같은 자원을 소모합니다.

  • 전력: 0.24Wh (전자레인지 1초, 혹은 TV 시청 9초 가량에 해당하는 양)
  • 탄소 배출량: 0.03g CO₂e
  • 물 사용량: 0.26mL (물방울 5개 정도)

즉, 개인 사용자가 한두 번 Gemini를 사용하는 것은 일상적 활동과 비교했을 때 아주 미미한 수준입니다. 하지만 전 세계 수십억 건의 요청이 누적되면 그 총량은 결코 무시할 수 없지요.

구글의 '포괄적 측정' 방식

그동안 AI 에너지 사용량은 학계나 업계에서 다양한 추정이 있었는데요. 측정 범위가 좁거나 제각각이라 신뢰하기 어려웠습니다. 예를 들어 GPU만 고려하거나, 실험실 환경에서 벤치마크만 돌린 결과가 많았지요. 하지만 이번 발표에서, 구글은 AI 서비스가 실제로 돌아갈 때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해서 계산하는 포괄적(full-stack)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단순히 ‘칩이 계산할 때 쓰는 전기’만이 아니라,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모든 인프라를 포함했지요.

제미나이 프롬프트당 에너지 사용 구조. 출처: 구글.

  • TPU(메인 AI 칩): 58% (0.14Wh)
  • 호스트 CPU·메모리: 25% (0.06Wh)
    (이미지에는 24%라고 나오지만 보고서에는 25%로 나와, 보고서 기준으로 표기합니다.)
  • 대기 장비: 10% (0.02Wh)
  • 데이터센터 오버헤드(냉각·전력 변환): 8% (0.02Wh)


이를 반영하지 않은 기존 방식으로 계산하면 프롬프트당 전력은 0.10Wh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구글 방식은 실제 운영 현실을 반영하여 2.4배 더 높은 0.24Wh로 산출되었습니다. 다른 모델들과 비교해 볼까요?

AI 모델별 프롬프트당 에너지 효율 비교. 같은 모델이라도 측정 방식을 좁게 잡으면 효율이 높아 보이지만, 구글의 포괄적 방식으로 계산하면 실제 값은 더 낮게 나타난다. 출처: 구글.

  • 위 그래프에서 x축은 에너지 효율을, y축은 모델 성능 지표를 나타냅니다. 즉, 그래프를 통해 <같은 품질을 낼 때, 전력 1kWh로 몇 개의 프롬프트를 처리할 수 있는가?>를 비교해 볼 수 있지요. 구글 제미나이의 중앙값(median)을 봤을 때, 프롬프트당 전력 효율이 무척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소식을 매주 받아보고 싶다면?

탄소 배출과 물 사용

AI가 전기를 쓰는 순간, 그 배경에는 탄소 배출과 물 소비라는 환경적 흔적이 따라옵니다. 구글은 이번 보고서에서 단순히 전력량만 밝힌 것이 아니라, 이를 탄소와 물 단위로 환산하고, 구글의 에너지/물 관리 정책까지 반영한 수치를 공개했습니다.

탄소 배출

 

  • 프롬프트당 배출량: 약 0.03g CO₂e
  • 계산 방식:
    • 전력 사용량(0.24Wh)을 기준으로,
    • 구글이 적용하는 시장기반(market-based) 탄소 계수와 곱하여 산출

특징은, 단순히 미국 전력망 평균을 쓰지 않았다는 점인데요. 구글은 2010년부터 태양광, 풍력, 지열, 원전 등 총 22GW 규모의 청정에너지 구매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덕분에 구글의 ‘전력 1단위당 탄소 배출 계수’는 실제 전력망 평균의 약 1/3 수준으로 낮지요. 다시 말해, 같은 0.24Wh라도 탄소 발자국은 다른 기업 대비 훨씬 작게 계산됩니다.

물론 이 방식은 구글이 실질적으로 청정에너지를 구매해 전력망에 투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타당하지만, 동시에 기업마다 다른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교 표준화는 어렵다는 한계도 있습니다.

물 사용

  • 프롬프트당 물 사용량: 약 0.26mL (물방울 5개 정도)

이 수치는 데이터센터 냉각에 쓰이는 물을 기준으로 환산되었는데요. 구글은 데이터센터 위치별로 물 부족 위험을 평가해, 고수위(water-stressed) 지역에서는 물을 쓰지 않는 공랭식 냉각을 우선 적용하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소비한 양의 120%를 보충하는 ‘워터 포지티브(water positive)’ 목표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1년 간 효율이 얼마나 좋아졌을까?

1년 간 제미나이의 효율성은 얼마나 개선되었을까요?
  • 에너지 사용량: 33배 감소
  • 탄소 배출량: 44배 감소

제미나이 앱 프롬프트의 배출량 추이. 지난 12개월 동안 전체적으로 프롬프트당 탄소 배출량이 44배 감소했다. 출처: 구글.

높아진 효율성의 배경에는 ‘풀스택 최적화 전략’이 있습니다. 소비량을 계산할 때도 전 과정의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했듯이, 효율화 또한 전 과정을 아울러서 관리했는데요. 모델을 설계하는 방식에서부터 이를 구동하는 칩과 서버, 그리고 그 서버를 담고 있는 데이터센터와 전력까지, AI가 작동하는 전 과정을 동시에 효율화하는 접근입니다. 간단하게 알아볼까요?

 

모델 아키텍처

  • Transformer 구조: 기존 RNN·LSTM 대비 10~100배 효율적이며, 긴 문맥 처리에서 계산 낭비를 줄여 줍니다.
  • Mixture-of-Experts (MoE): 거대한 모델이 항상 모든 파라미터를 쓰는 대신, 필요한 일부 전문가 모듈만 활성화하여 연산량을 10~100배 절약합니다.
  • 효율적 Attention 기법: Sparse/Linear Attention 등을 적용해 입력 길이가 길어져도 계산량이 폭증하지 않도록 제어합니다.

 

알고리즘

  • 양자화(Accurate Quantized Training): 숫자를 32비트 대신 8비트 등으로 줄여 표현해, 연산량과 메모리 사용을 줄입니다.
  • 지식 증류(Distillation): 대형 모델이 학습한 지식을 소형 모델에 전수해, 더 작은 모델(Gemini Flash, Flash-Lite)도 고품질 결과를 내도록 합니다.
  • Speculative Decoding: 소형 모델이 먼저 답안을 예측하고, 대형 모델이 이를 빠르게 검증하는 방식으로, 큰 모델이 모든 단계를 직접 연산하는 것보다 효율적입니다.

 

하드웨어 

  • Ironwood TPU: 최신 TPU는 1세대 대비 30배 효율적이며, 범용 CPU보다 훨씬 높은 연산 대비 전력 효율을 자랑합니다.
  • 모델 & 하드웨어 공동 설계: 새로운 모델이 하드웨어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만들고, 반대로 하드웨어도 미래 모델의 요구사항을 반영해 개발합니다.

 

데이터센터

  • PUE 1.09: 전력 사용 효율(Power Usage Effectiveness) 지표에서 1.3~1.5인 업계 평균에 비해 구글은 1.09를 달성했는데요. 이는 거의 이론적 한계에 근접한 수치입니다.
  • 효율적인 서버 운영: 수요 예측과 실시간 스케줄링을 통해 유휴 장비를 최소화하고, CPU·TPU가 놀지 않도록 합니다.

 

에너지 & 물

  • 24/7 무탄소 전력: 특정 시간대가 아니라 하루 24시간, 일주일 내내 청정에너지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전략입니다.
  • 물 사용 보충: 데이터센터 냉각에 쓰는 물만큼이 아니라, 평균적으로 120%를 자연에 환원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 지역별 최적화: 물 부족 지역에서는 수냉식이 아니라 공랭식 냉각을 우선 적용하여 물 소비를 줄입니다.

 

다양한 접근 덕분에 구글은 훨씬 적은 연산과 전력을 사용하면서도 품질은 유지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구글의 발표는 AI 환경 영향에 대한 첫 투명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구글은 프롬프트 하나당 TV를 9초 미만으로 시청하는 수준의 에너지가 든다고 말합니다. 다른 기관에 비하면 훨씬 적은 추정치입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AI 사용이 폭증하고 있기에 지속적인 개선은 필요한데요. 멋지고 화려한 AI 모델을 만드는 것도 좋지만, 그런 AI를 안전하고 오래토록 사용하기 위해 함께 고민해야 하는 요소들도 잊어서는 안됩니다.

Your AI Data Standard

라이선스 해결된 데이터셋 구매
인공지능 도입 및 데이터 구축
Related Posts